당뇨병용 영양보충제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을 더한 당뇨병용 영양보충제의 식후 혈당 인슐린 효과
당뇨병용 영양보충제가 식후 혈당을 덜 올리고 인슐린 부담을 줄일 수 있을까요? 특히 영양위험 또는 영양불량이 동반된 고령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당뇨병용 영양보충제 선택은 치료 흐름을 바꾸는 열쇠가 됩니다. 이번 임상시험은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EVOO)을 핵심 지방원으로 포함하고, 이소말툴로스·식이섬유·유청 단백을 조합한 ‘당뇨병 맞춤형 제형’과 일반 제형을 교차 비교했습니다. 같은 열량이라도 혈당 곡선(AUC)과 인슐린 곡선이 얼마나 다른지, 연속혈당모니터링으로 실제 생활 속 변화까지 살펴봤습니다. 결론은 명확합니다. 맞춤형 제형은 포도당과 인슐린의 면적과 최대치(Cmax)를 모두 낮추어, “같은 150kcal라도 부담이 덜한” 식후 프로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연구 설계와 대상 평균 60대 후반의 제2형 당뇨병 환자 29명이 참여했고, 모두 주관적종합평가(SGA)에서 영양위험 또는 영양불량으로 분류된 집단이었습니다. 무작위, 이중눈가림, 교차 설계로 진행되어 각 참가자가 두 제형을 모두 1주 간격으로 섭취했습니다. 시험식은 200mL 1회, 공복 섭취 방식이었고, 섭취 후 0–180분 동안 반복 채혈로 포도당과 인슐린을 측정했습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는 14일 연속혈당모니터링(CGM)으로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평균혈당과 변동성까지 확인했습니다. 제형 구성의 차이 두 제형은 100mL당 150kcal, 단백질 7.5g으로 동일한 열량·단백질을 제공했지만, 질이 달랐습니다. 당뇨병 맞춤형 제형은 흡수가 느린 이소말툴로스 기반 탄수화물, 수용성 식이섬유, EVOO·카놀라·어유로 구성된 단일불포화지방(MUFA) 위주의 지방, 유청·카제인·식물 단백의 혼합을 채택했습니다. 반면 일반 제형은 식이섬유가 없고, 자당 비중이 높으며, 지방 구성도 MUFA 중심이 아니었습니다. 이 차이가 “얼마나 천천히 들어오고, 얼마나 과하지 않게 반응하느냐”를 갈랐습니다. 핵심 결과 요약 포도당과 인슐린의 전체 노출량(AUC)은 당뇨병 맞춤형 제형에서 유의하게 낮았고,...